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성숙 프로필 총정리|네이버 CEO에서 중기부 장관 후보까지

 

✅ 한성숙 프로필 요약

• 이름: 한성숙 (韓聖淑)
• 나이: 만 58세 (1967년 6월 20일생)
• 출생지: 경기도
• 학력: 숙명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1989년)
• 주요 경력:
 - PC라인 기자
 - 엠파스 검색사업본부장
 - 네이버 검색품질센터장 → 서비스총괄이사
 - 네이버 대표이사 CEO (2017~2022)
 - 네이버 유럽사업개발 책임자, 고문
• 현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2025.6.23 지명)
• 재산: 주식 중심 약 60억 원대 보유 추정 (주식처분 대상 포함)

이전 주요 이력

 

  • 1989년 민컴 기자로 커리어 시작 → PC라인 기자
  • 1994년 나눔기술 홍보팀 근무
  • 1997년 엠파스 창립 멤버로 합류, 검색사업본부장
  • 2007년 NHN(현 네이버) 입사, 검색기획팀장
  • 2010년~2014년 네이버 검색품질센터장 및 서비스기획 담당
  • 2015년 네이버 서비스총괄이사 → 플랫폼 혁신 주도
  • 2017년 네이버 CEO 취임 (최초의 여성 CEO)
  • 2018~2020년 Fortune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연속 선정
  • 2022년 네이버 CEO에서 사임, 이후 유럽사업 총괄 및 고문
  • 2025년 6월 이재명 대통령에 의해 중기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

 

① 국내 최초 여성 포털 CEO

한성숙은 네이버 역사상 최초의 여성 CEO이자,
한국 IT업계 최초로 플랫폼 비즈니스를 총괄한 인물입니다.
검색·쇼핑·웹툰·페이 등 모든 핵심 서비스 라인업을 통합 관리하며,
기술 중심 경영을 구현해내며 ‘네이버 제2의 전성기’를 이끌었습니다.


② 장관 후보자 검증 이슈

  • 재산 논란: 네이버 퇴임 후 고문 자격으로 보유한 주식 자산 60억 원대
    → 장관 임명 시 이해충돌 방지 위해 블라인드 트러스트 혹은 매각 예정
  • 산업 이해관계: 네이버 출신으로서 정책 수립 시 대기업 편향 우려
    → 스타트업·중소상공인 중심 정책 추진을 공언한 상태
  • 전문성 측면: 비관료 출신이지만 AI·검색·결제·콘텐츠·유통 등
    디지털 생태계 전반에 정통한 민간 전문가라는 평가

③ 향후 정책 방향 핵심 키워드

주제 방향
디지털 전환 중소기업의 스마트화 및 AI 도입 유도
소상공인 '프로젝트 꽃' → 지역상권 지원 플랫폼화 구상
스타트업 네이버 D2SF 경험 바탕으로 창업 생태계 확대
규제 완화 온라인 유통·O2O 플랫폼에서 자율성과 균형 강조

플랫폼 CEO에서 공공 정책 리더로

 

한성숙은 언론인 출신의 이공계가 아닌 인문계 CEO로,
디지털 플랫폼 시대의 성공을 설계한 대표적 여성 리더입니다.

그녀는 기술을 소비자 중심으로 번역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형 전문가이며,
검색 알고리즘부터 지역경제까지 이해하는 드문 실무형 리더입니다.

장관 후보자로 지명되며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지만,
그녀가 민간에서 쌓은 ‘혁신 역량’이 소상공인과 스타트업의 구조 혁신
긍정적 작용을 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특히 ‘플랫폼-상생-기술’이라는 키워드를 정책에 녹여낸다면,
디지털 격차 해소와 생산성 중심의 중기 정책 전환점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한성숙 후보자는 네이버에서 정책 무대로 진입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대한민국 디지털 리더십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앞으로 있을 인사청문회를 통해
공직자로서의 자세, 정책철학, 이해충돌 가능성 등에 대한 충분한 검증이 필요하며,
그 과정에서 “플랫폼 CEO 출신 장관”이라는 상징성이
어떤 정책으로 현실화될지가 중요한 관전 포인트가 될 것입니다.